전체 글224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 지원기간 지원수준 확대 신청 정부는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일자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의 지원기간을 연장하고, 지원 수준도 높일 예정입니다. 이러한 정책이 청년들이 경제적으로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정규직으로 채용하여 6개월 이상 고용한 5인 이상의 우선 지원 대상 기업에는 최대 1,200만원의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지원이 기업들이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도록 유도하고, 청년들이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 추진배경 기업의 채용 부담을 덜어주고, 취업애로청년의 취업을 촉진함으로써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 청년일자리도약 장.. 2023. 7. 18. 국민취업지원제도 수당 확대 신청 미취업 청년, 저소득층, 경력단절여성 등 취업취약계층에게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와 생계안정을 동시에 지원하는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확대합니다. ▣ 국민취업지원제도 Ⅰ유형 참여자가 최소한의 생계유지를 하면서 취업준비에 전념할 수 있도록 기본 50만원의 구직촉진수당에 부양가족(만 18세 이하, 만 70세 이상, 중증장애인) 1인당 10만원씩, 최대 40만원을 추가로 지원합니다. ▣ 취업활동계획 수립 후 3개월 이내 조기취업시 조기취업성공수당을 잔여 구직촉진수당의 50%만큼 지급합니다. 아울러 조건부 수급자 대상 조기취업성공수당 50만원이 신설됩니다. ※ 구직촉진수당을 2회 총 100만원 수급하고 취업한 경우, 조기취업성공수당 100만원(잔여수당 200만원의 50%) 지원 국민취업지원제도 수당 확대 추진배경 국민취.. 2023. 7. 18. 아이돌봄 서비스 정부지원 확대 “지원시간은 늘리고, 지원대상은 넓히는” 보다 촘촘해진 아이돌봄 서비스가 시작됩니다. ▣ 시간제 아이돌봄서비스 지원시간을 연 840시간에서 연 960시간(1일 4시간)으로 확대하고, 정부지원 가구 대상도 1만 가구 늘려 8만5천여 가구로 폭넓게 지원합니다. ※ 지원시간 : (’22) 연 840시간(1일 3.5시간) → (’23) 연 960시간(1일 4시간) ※ 지원가구 : (’22) 7만5천여 가구 → (’23) 8만5천여 가구 ▣ 여러 사정으로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의 양육부담을 줄이고, 시설보육의 사각지대를 보완함으로써 자녀양육의 어려움을 덜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 개정내용은 2023년 1월 1일 신청 건부터 적용됩니다. 아이돌봄 서비스 추진배경: 맞벌이가구 등의 양육공백 최소화 및 양육.. 2023. 7. 18. 학점은행제 비용 학자금 지원 가능 2023년 1학기부터 학점은행제 비용을 학자금 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학습자에게 지원하는 학자금은 '일반상환 학자금 '으로, 학위 취득에 필요한 학습비 전액을 고정금리(2023년 1월 고시 예정)로 받고, 일정기간 거치 후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구체적인 지원대상은 교육부장관이 학자금 지원기관으로 고시한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에서 '평가인정 학습과정'을 수강(예정)하고 있는 학습자로, 연령·성적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학자금 지원 학점은행제 교육기관 및 금리 등은 2023년 1월 초 교육부장관 고시 등을 통해 안내됩니다. 2023년 1월부터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지원대상: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에서 ‘평가인정 학습과정’을 수강(예정)하고 있는 학습자 (연령·성적 등의 요건 충족 .. 2023. 7. 18.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56 다음